본문 바로가기

일기

17. 극뉴비를 위한 글로벌 아레나 팁

안녕하세요, (๑•́‧̫•̀๑)
시작하기 전에 짧은 공지 하고 지나가야 할 것 같아요. 제가 원래 안 바빴던 건 아니지만, 3주 차에 접어든 지금 이 시기에 약간의 바쁨이 겹치면서 슬럼프가 온 것 같아요. (게임 말고 글 쓰는 것에서.) 16일간 매일 글을 써 왔고, 큰 주제 안에서 매일 조금씩 다른 이야기들을 해 왔는데요, 이렇게 쓰니 무슨 16년 동안 쓴 것 같네요..... 여하튼, 지금까지는 매일 할 다른 이야기들이 있었고, 새로운 소식이 있었습니다. 진행도도 하루가 다르게 변해왔고요. 이제 그 단계는 지났어요. 매일매일의 진행도에 큰 차이가 없고, 며칠 멈춰 서 있는 구간도 있어요. 글을 쓸 소재도 고민 없이는 떠오르지 않아요. 게다가 사전 조사도 필요한 것이 많네요. 결론은, 저도 현생을 살아야 하니 이제 매일 글을 올리긴 어려울것 같아요.  

 

어제부터는 클리어 진형도 올리기 시작했고, 해 보니 편집하는데 그렇게~~~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하진 않는 것 같아서 꾸준히 올릴 수도 있을 것 같아요! (모순된 이야기 아니냐고요? 편집은 모바일로 가능한데 글 쓰는 건 이동하면서 하긴 어렵네요. 집중이 너무 안 돼서요. 티스토리 앱에서의 편집 환경이 매우 열악하기도 하고요. 지하철에서 버리는 시간을 의미 있게 쓰는 방법을 찾았을 뿐이에요.) 영상 편집은 아직 미숙하지만 하면 할수록 나아질 거라고 믿고 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홀수 날에는 일기나 공략을 올리고, 짝수 날에는 클리어 진형을 올리려고 해요. 대신 그 만큼 알찬 내용으로 일기와 공략 글을 채워 올게요. 

 


2020.07.11 17일차

 

획득 영웅 결산- 캐즈 (12챕 클리어 보상)

 

 

글로벌 아레나를 처음 하는 사람들을 위한 팁

 

당신이 글로벌 아레나를 처음 시작한다면, 아마 당신은 브론즈 구간 내에서 배치될 것이다. 글로벌 아레나 초기 배치는 덱의 전투력에 기반한다. 다음 사항들은 글레나 이외에도 대부분의 이벤트에서 적용되는 규칙이다. 

  • 글레나에 출전하는 모든 영웅은 240렙(+공명렙의 1/10)으로 통일된다. (공명이 180이라면 글레나 레벨은 258.)
  • 모든 영웅이 착용하는 장비는 노브랜드 레전 t1으로 통일된다. 레전드 이상 장비를 착용하고 있는 영웅의 경우 종족 버프가 적용된다. 
  • 아티펙트는 적용되지 않는다. 
  • 영웅의 등급과 전용 장비는 그대로 적용된다. 

다음 규칙은 글레나에서만 적용되는 규칙이다.

  • 매일 첫 3번의 전투에서 일일 보상을 받을 수 있다.
  • 하루에 무료로 쓸 수 있는 티켓 수는 8개?이다. 매일 8시에 리셋된다. (아.. 사실 이거 좀 불확실하다. 9시 전에 리셋되는 것 같은데 정확히 모르겠고, 개수도 한 번도 세 본 적이 없어서 모르겠어 ㅠㅠ)
  • 상대가 너무 강하면 리셋하여 다른 상대를 찾을 수 있다. 하지만 이것도 무료로 변경할 수 있는 횟수가 정해져 있으며, 그 횟수를 넘어가면 한 번당 5 다이아를 써야 한다. 
  • 한 번의 전투에서 이기면 나는 트로피를 얻고, 상대방은 트로피를 잃으며, 트로피 개수에 따라 리그를 올라가기도, 떨어지기도 한다.
  • 다른 사람이 나를 떨어뜨릴 수 있는 한도는 해당 리그의 바닥까지이다. (브론즈II 에서 브론즈III 으로 떨어지지 않음.) 내가 공격해서 질 경우는 하위 리그로 강등될 수 있다. 
  • 바로 위 규칙은 다야III 까지만 적용된다. 
  • 리그에 따라 필요한 덱의 개수가 늘어난다.
  • 영웅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덱의 경우, 자동 패배 처리된다. 
  • 최종 보상은 일반 아레나에 비해 매우 좋으며, 글레나 종료 시 리그와 랭킹에 따라 지급된다. 

 

리그 상승에 따라 필요한 덱의 개수

브론즈 1    
실버
골드
3  
 
다이아
마스터
레전드
5

 

당신이 극뉴비라면, 당신은 아직 레전 장비도, 전장도 없을 것이다. 따라서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레벨차는 많이 나도 기껏 해봐야 20 정도이기 때문에 너무 겁먹지 않아도 된다. 

 

일단 처음 덱은 아레나 덱으로 짠다. 그럴 일은 없겠지만 만약 에이츠나 탈렌, 쌍둥이 등등 성능은 넘사지만 명함이라 스테이지에서 못 쓴 애들이 있다면 넣어도 좋다. 스킬 오픈 레벨 때문에 못 쓰던 애들도 넣어도 된다. 자신이 보유한 영웅들로 '전장 없이 쓸 수 있는' 가장 좋은 덱을 짜는 것, 그거면 충분하다. 

 

상대를 공격할 때는 대충 투력을 보고 들어가는데, 타이라나 조합이면 나에게 유리한 진형으로 '나보다 한 등급씩 높은' 상대까지 골라도 된다. (내 조합이 유닉+2에 유닉 3이라면, 레전 2에 유닉+3 까지는 커버할 수 있다. 진형은 벨린다나 귀네스처럼 물몸 원거리 딜러가 섞인, 파고들 수 있는 조합이면 된다.)

 

하루에 무료로 쓸 수 있는 티켓 개수가 정해져 있다. 초반에는 무료 티켓만 다 쓰면 된다. (매일 5개씩 티켓 구매하고 마지막 날 다 쓰는 사람도 있지만 굳이 그럴 필요는 없는 것 같다. 보통 유료 티켓 15장 정도 더 써서 올라가는 게 한계인 것 같다. 그 이상은 투력 차이를 극복하기 어렵다.)

 

만약 한 번만 더 이기면 다음 리그로 넘어갈 수 있다, 하면 티켓을 사서 넘어가자. 다른 사람들이 나를 아무리 공격해도 바닥이 받쳐 줄 것이다. 이미 넘어왔는데 무료 티켓이 남았다, 하면 다음날 7시 반까지 기다렸다가 쓰자. 곧바로 8시에 새 무료티켓을 받고 쭉쭉 올라가면 된다. 

 

각 리그의 첫, 두 번째 구간에서는 판당 트로피 100개 이상을 받기가 쉽다. 가장 아래 사람도 60개 이상은 준다. 그런데 마지막 구간에서 거의 승급 할락 말락 할 때가 되면 갑자기 주는 트로피가 50개 밑으로 떨어진다. 내 트로피가 상대보다 많으면 이겨도 적게 주기 때문에 어쩔 수 없다. 다음 리그 승급을 위해 얼마나 필요한지 계산해서 되도록이면 한 번에 승급하자. 이때 더 높은 점수를 얻겠다고 리셋을 반복하는 바보짓은 하지 말자. 무료 리셋 횟수를 넘겨버렸는데, 너무 강한 상대만 나오면 아까운 다야만 날리게 된다. 그 다야로 차라리 티켓을 사자. 

 

실버에 도달했다면, 반드시 방어 진형을 잘 짜 놓자. 3개의 덱에 내 주력 영웅을 다 찢어놓는 게 좋다. 예를 들어, 가장 강한 타이더스 따로, 사트라나 따로, 루시우스와 로젤린 같이. 3개로 찢기엔 너무 덱이 부실하면 2개의 덱만 잘 만들자. 나머지는 각 주력 영웅에 맞게 짜고, 되도록이면 종족을 맞춰준다. 항상 1번 덱에 가장 약한 애들을 넣어놓자. 보통 해외 서버 유저들은 1덱이 가장 세고, 2,3덱은 고만고만하다. 공격할 때도 심지어 진형 변경을 안 하고 일단 들이박는 사람들도 있다. 

실버에 갓 올라온 유저들, 다른 유저가 올려준 유저들은 2,3덱이 아예 없다. 가장 점수를 많이 주는 사람들부터 때려서 올라가자. 

 

진형 저장에 최강덱 & 평범덱 & 떨거지덱 조합과 잘 찢어놓은 중강덱 2 & 떨거지덱 이렇게 5개를 저장해놓는다. 상대 조합을 보고 쎈 덱이 2개면 그 중에 약한 덱에 최상덱을, 상대의 가장 약한 덱에 평범덱을 넣어서 이기고, 상대 조합이 하나만 쎄면 그것만 피해서 중강덱 2개를 넣어서 이긴다. 

 

하루하루 지나갈수록 강한 사람들은 위쪽으로 올라가버려서 다 사라지고, 나랑 비슷한 사람들이나 나보다 조금 센 사람들만 남는다. 티켓을 모아놨다가 마지막 날 쓰는 이유다. 마지막 날 오전 7~8시 사이에 등반을 시작해서 내가 오를 수 있는 한 최대로 오르고 끝내자. 최종 보상을 올릴 수 있을 것 같으면 티켓을 사도 좋다. 

 

본계 글레나 보상

 

 

그동안 글레나를 하며 내가 알아낸 사소한 팁들이다.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

*몇 가지 확인 못한 정보들이 있습니다.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댓글 남겨주세요.

 

 

 

 

 

17일차 진행도 결산

스테이지- 13-5

시탑 151층